라벨이 전라남도인 게시물 표시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행정구역 및 지명유래

이미지
 회진면(會鎭面) 회진면은 전라남동 장흥군 하위 행정구역으로, 대덕읍과 더불어 장흥의 가장 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대덕읍에 속했으나 1986년 분면하여 회진면이 되었다. 역사적 의미에서 회진은 주변 지역보다 월등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육지 도로가 원활하지 않았을 때 조선시대애는 회령면으로 존속할 정도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대덕면관활로 들어간다.  회진의 다른 이름은 회령이며, 회령의 옛 지명은 마사량이었다. 마사량은 백제시대 회령이 마사량현(馬斯良縣)이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940년 태조 23년 회령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지금까지 그 이름을 가지고 있을 정도이다. 조선시대에는 회령포영(會寧浦營)이 있어 수군만호가 관할했다. 왜구의 침입이 잦은 탓에 이곳에 회령진성을 지어 왜구를 막았다. 회령진성 복구된 모습 회령진성 복구된 모습 회진면 행정구역 회진면에는 5개의 법정리와 16개의 행정리가 있다. 회진면 법정리 대리(大里) 덕산리(德山里) 신상리(新上里) 진목리(眞木里) 회진리(會鎭里) 회진면 행정리 진목리 진목리 이진목리 안삭금리 회진리 이회진리 선학동리 선자리 서구 덕흥리 남구 동구 덕산리 덕산리 장산리 노력리 대리 대리(大里) 신상리 신상리 신덕리 회진면 지명유래 대리(大里) 대리의 지명은 고려시대고 거슬러 가야 한다. 고려 말 도청리로 불렸고, 조선말에 대리고 개편한다. 덕산리(德山里) 노력도 / 노력항 회진면 덕산리 대섬 남쪽에 있는 긴 섬이다. 『해동지도』(장흥)에 회진 동쪽 우도(우산도) 남쪽에 노력도(老力島)가 표시되어 있다. 원래 장흥도호부 저도면에 속한 섬이었으나 1895년 완도군이 설치되면서 완도로 편입되었다. 그후 1914년 장흥군 대덕읍에 편입되었다가 1986년 장흥군 회진면에 속하게 되어 오늘에 이른다. 원래 노룡이 있는 섬이라 하여 노룡도라 불렀다고 한다. 그러다가 노력도로 바뀌었는데, 지하수가 좋아 노인들이 장수하는 섬이라 하여 노력도라 부른다고도 한다. 지형이 용이 뛰어 오르...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읍 지명유래

이미지
대덕읍(大德邑) 전라남도 장흥군 하위 행정구역 중의 하나이다. 회진면과 더불와 장흥군의 최남단에 속한다. 1980년 12월 1일 대덕면에서 대덕읍으로 승격한다. 회진리를 두었지만 1986년 분면하여 회진면이 되었다. 당시 회지면이 분면을 반대하여 많은 시위를 했다고 한다. 대덕면 소재일 때도 대덕과는 다르게 상당히 번화한 곳이었다. 대덕읍은 한우가 유명한 장흥군 소재 답게 많은 한우를 기르고 있다. 가는 마을마다 한우 축사가 즐비해 외지 사람들은 쉽게 가고 싶어하지 않는다. 특히 가학리는 마을 입구와 주변에 축사로 뒤덮여 있는 실정이다.  천관산 동남부의 평탄한 구릉지역을 차지하고 있어 농업이 굉장히 발달되어 있다. 양파, 파, 배추가 많이 나며, 특히 옛부터 대덕읍은 양배추를 많이 재배해 양배추 산지로도 유명하다. [이미지 출처 위키백과 대덕읍 ] 대덕읍 법정리 가학리 도청리 분토리 신리 신월리 연정리 연지리 옹암리 잠두리 대덕읍 지명유래 가학리(駕鶴里) 가학은 학이 많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마을도 학처럼 생겼다고 한다. 대덕읍에서 삭금마을로 가는 길에 자리하고 있다. 대덕천이 흐르는 주변은 지대가 낮아 가학은 약간 산쪽으로 올라 앉아 있다. 영보마을 가학리 안에 영보 마을이 있는데, 산 속에 숨겨져 있어서 주변 사람들이 아니면 찾기 힘든 마을이다. 동학동민 시절 동학군들이 숨어 있던 마을이기도 하다. 영보는 재 넘어 길게 집이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담안골 마을 앞에 돌담이 있어, 돌담 안에 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율지(밤갓)마을 밤이 유난히 많아 밤 마을로 불렸다. 서당골마을 서당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따순기미마을 '따순'은 '따뜻한'의 전라도 사투리다. 마을이 따뜻하고 양지 바른 곳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도청리(道廳里) 면사무소가 있어 도청이라고 했다고 하지만 정확하지가 않다. 도청은 예로부터 큰 마을이었다. 도청이란 이름이전에는 큰 마을이란 뜻의 대리로 불렸다고 한다. 대덕면 이전에 도청은 내덕면이...

전라남도 고흥군 행정구역

 행정구역 전라남도 고흥군은 2읍 14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31개의 법정리가 있다. 2022년 11월 현재 고흥군의 인구는 62,007명이다. 2개 읍 고흥읍 도양읍 14면 풍양면 도덕면 금산면 도화면 포두면 봉래면 동일면 점암면 영남면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 고흥군 역사 선사시대 고흥에 다양한 지석묘가 500여개 된다. 해안선을 주변으로 많은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보인다. 선사시대유물 두원면 운대리 운암산능 석관 포두면 장수리 수몰지구 토기류 삼국시대 삼한 시대에 마한의 영토얐다고 근초고왕 시기에 백제의 땅으로 편입된다. 이후 신라가 통일하면서 신라 땅이 된다. 5개의 도독부를 둔다. 전라남도에 사양, 대방, 분차 3주가 배치되고 고흥은 분차군에 속한다. 분차군(낙안군)은 4개의 현을 다스린다. 조조혜현(남양면), 두힐현(두원면), 비사현(동강면) 고려시대 해양도 14주 62현 중의 3현이 된다.  고려 제8대 현종 9년인 1018년에 해양도와 강남도(전북)을 합하여 전주와 나주의 이름을 따서 전라도로 개칭하고, 치소를 전주에 두었다. 조선시대 세종 8년에 고흥과 남양의 뒷글자를 따서 흥양현으로 고쳐 부른다. 고종 26년(1895년) 흥양현을 양양군으로 바꾼다. 1914년 고흥군으로 개칭한다. 전라남도 행정구역 대한민국 행정구역

전라남도 장흥군 행정구역

이미지
 장흥군 장흥군은 전라남도에 속하며 3읍과 7면 294개리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는 2023년 10월 말 기준 35,119명이다. 남자는 17,173명 여자는 17,946명이다. 장흥군 행정지도 장흥군 지도출처 : 장흥군 홈페이지 3읍 장흥읍 관산읍 대덕읍 7면 용산면 안양면 장동면 장평면 유치면 부산면 회진면 장흥군 내력 군목은 동백나무 군화는 진달래 군조는 비둘기 상징동물 표동이 장흥군은 표고버섯과 한우가 가장 유명하다. 매 년 물축제가 큰 행사로 진행된다. 도수희 교수의 백제어 연구에 의하자면 마한의 막로국(莫盧國)이라고 되어있었다. 백제의 오차현(烏次縣)이다. 당시 치소는 지금의 관산읍이다. 757년 오아현(烏兒縣)으로 개칭하고 보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 정안현(定安縣)으로 개칭하고 영암군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성종이 정주(定州) 또는 관산(冠山)이라는 별호를 부여하였다. 고려 인종이 공예왕후 임씨의 고향이라 하여 장흥부(長興府)로 승격시켰다. 영암군의 속현인 수령현(遂寧縣), 탐진현(耽津縣)과 보성군의 속현인 회령현(會寧縣), 장택현(長澤縣), 두원현(荳原縣)이 장흥의 속현이 되었다. 뒤에 도량도부곡(道良道部曲)이 도양현(道陽縣)으로 승격되어 6개 속현을 관할하였다. 1265년 회주목(懷州牧)으로 승격하였다. 1310년 전국의 목(牧)을 정리하면서 다시 장흥부로 강등되었다. 1379년에 왜구의 침입을 피해 능성의 속현인 철야현으로 이전하였다가, 1392년에 수령현의 중령산(中寧山)에 성을 쌓고 치소를 이전하였다. 1409년 전라도의 모든 속현과 향·소·부곡이 폐지되면서 장흥부의 6개 속현, 6개 향, 13개 소가 모두 폐지되었다. 1413년 장흥도호부가 되었다. 이듬해 성이 좁다 하여 옛 수령현의 터에 성을 쌓고 장흥의 치소로 삼았다. 1417년 옛 탐진현이 도강현에 편입되어 강진현이 되었다. 1441년 옛 두원현과 도양현이 흥양현에 편입되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나주부 장흥군으로 개편하였다. 군내면, 부서면,...

전라남도 행정구역

이미지
 전라남도 전라남도의 전라도가 남도와 북도로 나뉜 것이며, 전라는 전주와 나주의 합성어이다. 전라남도 시청은 무안군에 있으며, 5개의 시, 17개의 군으로 나뉘어 있다. 2020년 12월 31일 기준33개의 읍, 196개의 면, 68개의 동, 1,797의 통, 6,860의 리, 24,960의 반이 있다. 전라남도 개요 면적 12,360.5㎢ - 전국 면적의 12.3% 인구 총 1,855,575, 한국인  1,811,554 외국인  44,021 세대수  912,202 5개의 시 목포시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나주시 17개의 군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무안군 보성군 보성군 신안군 완도군 영암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화순군 해남군 폐지/통합 행정구역 광산군 - 1988년 1월 1일 광주직할시에 편입하여 광주 광산구가 됨 송정시 - 1988년 1월 1일 광주직할시에 편입하여 광주 광산구가 됨 광양군 - 1995년 1월 1일 동광양시와 합병하여 광양시가 됨 동광양시 - 1995년 1월 1일 광양군과 합병하여 광양시가 됨 여천군 - 1998년 4월 1일 여수시에 병합 여천시 - 1998년 4월 1일 여수시에 병합 나주군 - 1995년 1월 1일 나주시에 병합 승주군 - 1995년 1월 1일 순천시에 병합

전라남도 강진군 행정구역

이미지
 강진군 강진군은 전라남도의 하위 자치단체이다. 1읍과 10면이 있다. 인구는 2023년 7월 현재 32,968명이다. 행정구역 읍 1 면 10 법정리 112 자연마을 293 반 612 면적 500.93㎢ 1읍 / 강진읍 면 10 /  군동면  칠량면  대구면  마량면  도암면  신전면  성전면  작천면  병영면  옴천면  강진읍 (康津邑) 동성리(東城里) 동문(東門),목화(木花),고내(庫內),동명(東明) 남성리(南城里) 남문(南門),탑동(塔洞) 서성리(西城里) 서문(西門),신성(新城),홍암(紅岩) 교촌리(校村里) 신풍(新豊),교촌(校村),점수(点水) 목리(牧里) 목리(牧里) 평동리(平洞里) 중앙동(中央洞),평동(平洞) 남포리(南浦里) 남포(南浦) 학명리(鶴鳴里) 도원(桃源),호산(虎山),학산(鶴山), 초동(草洞) 임천리(林川里) 학림(鶴林),신천(新川) 영파리(永波里) 장동(壯洞),팔영(八永),차경(且耕) 덕남리(德南里) 기룡(基龍),덕동(德洞),춘곡(春谷) 송전리(松田里) 송정(松亭),장전(長田),화전(花田) 송덕리(松德里) 송현(松峴),봉덕(鳳德) 춘전리(春田里) 신학(神鶴),부춘(富春),보전(寶田),월정(月汀) 서산리(瑞山里) 발산(鉢山),향일(向日),옥치(玉峙),월남(月南) 군동면(郡東面) 파산리(琶山里) 금곡(金谷),신리(新里),생동(笙洞) 호계리(虎溪里) 호동(虎洞),문화(文化),영포(永浦),갈전(葛田),오산(五山) 라천리(羅川里) 평리(平里),남향(南向),시목(柿木),동동(東洞) 금강리(錦江里) 내동(內洞),안풍(安豊),서은(瑞隱) 화산리(華山里) 화방(花坊),삼화(三化),영화(永化) 용소리(龍沼里) 안지(安池),신기(新基),석동(席洞) 풍동리(豊洞里) 풍동(豊洞),봉산(峰山),벽송(碧松),명암(鳴岩) 장산리(獐山里) 장항(獐項),중산(中山),대곡(大谷...